그을음병 (sooty mould)

그을음병은 여러 종류의 곰팡이들이 모여 형성하는 검은 그을음 모양의 균사체로, 곤충이 분비하는 당분이 많은 단물 위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이 곰팡이들은 직접적으로 식물 조직을 침범하지 않고 표면에만 자라지만, 광합성을 방해하여 결국 식물의 생장과 상품가치에 악영향을 끼칩니다. 그을음병의 원인과 발생 환경 그을음병은 진딧물, 깍지벌레, 백색깔잠벌레, 온실가루이 등 흡즙성 곤충이 분비하는 당분 함유의 꿀물을 영양원으로 하여 생장합니다. 이…

By.

min read

그을음병은 여러 종류의 곰팡이들이 모여 형성하는 검은 그을음 모양의 균사체로, 곤충이 분비하는 당분이 많은 단물 위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이 곰팡이들은 직접적으로 식물 조직을 침범하지 않고 표면에만 자라지만, 광합성을 방해하여 결국 식물의 생장과 상품가치에 악영향을 끼칩니다.

그을음병의 원인과 발생 환경

그을음병은 진딧물, 깍지벌레, 백색깔잠벌레, 온실가루이 등 흡즙성 곤충이 분비하는 당분 함유의 꿀물을 영양원으로 하여 생장합니다. 이 균류들은 특히 습도가 높고 통풍이 좋지 않은 환경에서 기승을 부립니다. 세계 여러 과수원에서 6~9월 사이에 많이 발생하며, 봄과 가을철 비가 잦고 저온이 지속될 때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을음병 증상

  • 잎, 가지, 과실 표면에 검거나 흑갈색의 그을음 형태가 보입니다.
  • 초기에는 작은 점 형태의 암색 병반이며 점진적으로 넓어져 전체 표면을 뒤덮습니다.
  • 병반은 손으로 문질러도 쉽게 떨어지지 않고, 마른 환경에서 갈라지거나 벗겨지기도 합니다.
  • 잎의 표면이 덮여 광합성이 저해되어 잎이 시들고 나무가 약해질 수 있습니다.
  • 과실의 경우 외관이 손상되어 상품 가치가 떨어집니다.
  • 흔히 그을음병이 생긴 부위에는 진딧물, 깍지벌레 등 흡즙 곤충이 함께 존재합니다.
  • 개미도 이 곤충들과 공생하며 종종 발견됩니다.

생물학적 특성

그을음병 곰팡이들은 당분이 풍부한 꿀물을 영양소로 사용하며, 주로 잎과 가지 위에서 성장합니다. 이 곰팡이들은 식물의 내부로 침입하지 않고, 표면 한정 기생해 식물 표면에 막을 형성합니다.

기주 식물에서 분비되는 당분과 환경 조건에 따라 성장 속도와 병반 확산 정도가 달라집니다. 또한, 곰팡이 포자는 비에 의해 쉽게 확산되어 인접 식물로 전파됩니다.

방제 방법

  • 흡즙성 곤충(진딧물, 깍지벌레 등) 방제를 철저히 하여 병원의 발생 원인을 줄입니다.
  • 통풍이 잘 되도록 가지치기 및 나무 사이 거리 확보 등 관리로 환경을 개선합니다.
  • 비가 오는 시기에는 봉지 씌우기 작업을 하지 않으며, 봉지 씌우기 전 약제 살포를 권장합니다.
  • 병든 잎과 가지는 신속히 제거해 감염원을 차단하고, 불태워 처리합니다.
  • 정기적으로 약제를 살포해 그을음병과 같이 발생하는 점무늬낙엽병, 겹무늬썩음병도 동시에 관리합니다.
  • 유기농업자재로는 현재 블루베리 그을음병에 효과적인 제품은 없습니다.

발생 시기 및 기후 영향

그을음병은 대체로 6월 중순부터 9월 하순 사이에 많이 발생하며, 봄과 가을에 기온이 낮고 강우가 잦을 때 특히 심해집니다. 반면, 고온 건조한 여름철에는 발생이 줄어듭니다.

핵심사항 요약

  • 그을음병은 곤충 배설물에 포함된 당분을 영양원으로 삼아 식물 표면에 기생하는 검은 그을음균입니다.
  • 잎, 가지, 과실에 검은 점무늬 또는 균사가 덮여 광합성을 방해하고, 과실 상품가치를 저하시킵니다.
  • 병원균은 직접 식물 조직을 공격하지 않으나, 간접 피해가 크므로 관리가 필요합니다.
  • 진딧물, 깍지벌레 등 흡즙 곤충 방제가 가장 효과적인 방제 방법입니다.
  • 통풍 개선, 병든 조직 제거, 적기 약제 살포도 함께 시행해야 합니다.
  • 과습 환경에서 발생하기 쉬워 환경 관리도 매우 중요합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